청년희망적금의 만기일이 얼마 안 남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청년도약계좌로 환승 연계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계실 텐데요.
청년도약계좌 환승에 대한 글을 읽어봐도 일시납입부터 월 설정금액, 매칭비율, 지급한도까지 너무 복잡하고 어려워서 계산하기 어렵더라고요.
대체 내가 얻을 수 있는 수익률이 어떻게 되는 건지, 일시납입을 하면 얼마나 이득인 건지, 신규가입을 했을 때랑 금액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일반 적금과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 등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청년도약계좌 계산기를 만들어서 꼼꼼히 정리해봤어요.
+ 추가로 청년도약계좌 엑셀 계산기에 본인의 상황에 맞게 금액을 작성하면, 자동으로 계산해서 정부기여금이 얼마인지, 만기수령액, 수익금등을 한 번에 계산해서 비교할 수 있도록 파일을 만들어뒀어요!
계산이 어려우시다면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직접 수익률을 계산해보시기 바랍니다.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6%의 금리로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1,260만 원을 일시납입을 했을 경우 시중은행에서 일반적금 들 때 9.5% 금리를 적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더라고요.
일반 은행에서 적금을 드는 것보다, 청년도약계좌로 환승하여 갈아타는 것이 훨씬 이득이었습니다.
수익률을 계산하기 앞서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청년희망적금 vs 청년도약계좌 무엇이 다른가요?
청년희망적금은 1년 총급여가 3,600만 원 이하인 만 19세~34세 청년이 가입할 수 있는 적금입니다.
한 달에 최대 50만 원씩 2년간 저축할 수 있고, 저축 장려금 등을 포함하면 최대 9% 금리까지 적용받을 수 있어요.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이랑 비슷한데, 기간과 금리가 조금 다른 정부정책 금융상품이에요.
만기가 5년이고, 매달 최소 40만 원부터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저축할 수 있습니다.
금리가 최대 6%까지 붙기 때문에, 일반 저축 상품보다 조건이 좋은 편입니다. 게다가 정부 기여금, 비과세 혜택도 있어요.
5년 동안 매달 저축하면 최대 약 5,050만 원을 받을 수 있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34세 청년이 지난 1년간 개인소득 7,500만 원 이하이면서, 본인과 가구원의 소득이 중위소득의 180%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즉, 혼자 살고 있다면 한 달에 버는 돈이 약 400만 원이 넘으면 안 돼요. 세 식구가 같이 산다면 가족이 합쳐서 한 달에 약 848만 원 아래로 벌어야 합니다.(2024년 기준)
청년도약계좌 금리
청년도약계좌의 기본 금리는 연 4.5%에서 우대금리를 받으면 최대 6%까지 맞출 수 있습니다. 우대금리를 받으려면 1년 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이거나, 급여통장을 만드는 등 은행에서 제시하는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은 얼마까지?
정부기여금은 개인의 소득기준에 따라 지급한도가 달라집니다. 본인 납입금액과 기여금 적용한도 중에서 적은 금액에 지급비율을 곱하면 월 정부기여금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만약 작년 총급여가 2,400만원 이하일 경우 총 지급한도는 40만 원이며, 월 납부금액이 50만 원일 경우 더 적은 금액인 40만 원에 매칭비율 6%를 곱하면 24,000원이 월 정부기여금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수익금 비교
청년희망적금의 만기일이 다가온 사람은 청년도약계좌를 만들 때 이전에 모아뒀던 돈을 일시납입을 통해 미리 넣어둘 수 있습니다.
일시납입을 할 경우 정부기여금이 한 번에 붙기 때문에, 만기에 수령할 때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커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만약 1,260만 원을 일시납입하고 월 70만 원씩 저축을 한다고 치면, 만기 때 총 856만 원에 달하는 수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규가입을 하면 801만원의 수익을 받기 때문에 일시납입을 할 경우 약 55만원이 더 이득인 것이죠.
하지만 위에서 말씀드린 사례는 개인소득이 2,400만 원 이하 이면서 최대 금리 6%를 적용받았을 때의 혜택이기 때문에, 개인에 맞춰서 얼마나 이득을 볼 수 있는지 계산을 해봐야 합니다.
현실적으로 연봉이 2,400만원 이하이면 월 200만 원 이하의 소득이라는 건데.... 과연 그런 사람이 월 70만 원씩 납부할 수 있을까요?ㅎ;;
그래서 현실적으로 다시 계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소득이 3,000만 원, 적용 금리는 기본 금리 4.5%에 은행별 우대금리를 1% 채웠다고 가정해서 5.5%로 계산해 볼게요. (참고로 기본금리는 4.5%로 고정이지만 은행 금리는 3년 이후부터 변동금리로 적용된다고 합니다.)
CASE 1. 청년희망적금 > 청년도약계좌 일시 납입의 경우.
청년희망적금을 만기수령액 1,200만 원을 월 설정금액 50만 원으로 설정하고, 신규납입 금액도 동일하게 50만원으로 설정했을 경우.
일시납입금 전환기간은 24개월이 되고, 추가로 36개월 동안 1,800만 원을 납부하면 총 원금이 3,000만 원이 됩니다.
3,000만 원에 금리 5.5%를 적용하면 은행 이자는 총 480만 원이 됩니다.
정부기여금은 23,000원에 4.6%의 비율이 적용되어서 총 138만 원을 받을 수 있고,
정부기여금에 대해서도 기본금리 4.5%가 붙기 때문에 총 정부기여금은 156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종합해서 정리해보면, 원금 3,000만 원을 납입했을 경우, 총 이자소득은 638만 원이며 이자소득세 98만 원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만기에 약 36,387,893원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이것을 총 수익률로 환산하면 21.3%이며, 연간 수익률은 4.3%입니다.
CASE 2. 청년도약계좌에 신규 가입할 경우.
만약 동일한 조건인데 일시납입 없이 신규로 가입할 경우 원금 3,000만 원에 대한 총 은행 이자는 419만 원이며, 정부기여금은 이자포함 약 153만 원이 됩니다.
총 이자소득은 573만원이 되고, 이자소득세 88만 원을 절세할 수 있으며, 만기에 35,731,588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신규가입 시 수익률은 19.1% 이고요. 연간 수익률로 환산하면 약 3.8%가 됩니다.
**
일시납입 했을 때의 총 소득은 638만원이고, 신규가입 했을 때의 총 소득은 573만원으로 약 65만원 정도의 수익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일시에 납입했을 경우 일시납입한 금액의 정부기여금이 먼저 지급되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가 생깁니다.
CASE 3. 일반 적금에 가입하는 경우.
동일한 조건으로 일반 적금에 가입할 때 수익률을 알아보겠습니다. 조건은 동일해도 적용되는 금리는 낮기 때문에 평균 금리인 3.5%로 잡아보겠습니다.
원금 3,000만 원에 대한 총 이자는 269만원이며, 이자소득세 15.4%인 41만원을 차감하면 총 수익은 228만 원이 됩니다.
그럼 만기 수령액은 32,283,566원이 되며, 총 수익률은 7.6%에 연간 수익률은 1.5%가 됩니다.
이렇게 3가지 케이스를 비교해 봤는데요. 청년희망적금을 일시납입을 했을 때와, 청년도약계좌에 신규가입을 했을 때, 그리고 일반 적금 들었을 때 수익률 차이가 꽤 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 그리고 적용 금리가 높기 때문에 이러한 혜택을 볼 수 있는 것이죠.
청년도약계좌 계산기 파일 사용방법은 간단합니다.
노란색 칸에 본인의 상황에 맞게 금액을 작성하면 금리부터 정부기여금, 만기수령액, 수익률을 자동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월 설정금액은 40만 원, 50만 원, 60만 원, 70만 원 중에 선택 가능하며, 중도변경이 불가합니다.
일시납입금액은 월 설정금액의 배수로만 설정이 가능합니다.
만약 월 설정금액이 40만 원이라면 일시 납입 인정 금액은 최소 200만 원, 240만 원, 280만 원 ~ 최대 1,280만 원이 일시납입금으로 인정됩니다.
**계산기 사용할 때 월 설정금액을 수정하면, 반드시 일시납입금액도 수정해주세요
일시납입금액은 희망적금만기수령액으로만 가능하며, 개인돈으로 추가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엑셀 파일이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의 포스팅 링크를 통해 다운받아 주세요.
*단, 일시납입을 한다고 해서 납입기간이 줄어드는 것은 아닙니다.
만약 18개월분을 일시납입했다면 18개월이 지난 후인 19개월 차부터 적금 납입이 가능합니다. 5년 만기 상품인 것이죠. (일시납입으로 가입을 해도, 신규 가입을 해도 만기일자는 동일합니다.)
그럼에도 일시납입을 하는 이유는 이자수익을 대략 55만 원을 더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일시납입과 신규가입 중 무엇이 더 유리할까요?
만약 A라는 사람이 1,260만원을 일시납입하고 갈아타기로 결정했다면, 1회차에 한번에 납부하고 18개월 동안 다른 적금, 주식등을 활용해서 돈을 모으다가 19개월차부터 청년도약계좌 신규납부를 시작하면 됩니다.
B라는 사람은 일시납입을 하지 않고 만기금액은 다른 곳에 투자하고 청년도약계좌를 신규가입하기로 결정했다면, 1회차부터 60회차까지 청년도약계좌 신규가입으로 납부하시면 됩니다.
A와 B가 같은 조건이라면 청년도약 만기수령 때 A가 약 50만 원을 더 벌게 됩니다.
A처럼 18개월 동안 청년도약계좌에 저축을 하지 않다가 만기 때 50만원을 더 받아갈지, B처럼 1,260만 원을 다른 곳에 투자하여 50만 원 이상을 뽑아낼지는 본인 투자성향에 따라 결정하면 될 듯합니다.
특별중도해지 사유는?
청년도약계좌는 5년 만기 상품이기 때문에 중간에 해지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는데요.
만약 청년도약계좌를 중도 해지할 경우엔 정부기여금이 전액 환수되지만,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된다면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기 수령 시 : 기본금리, 은행 우대금리, 소득 우대금리, 정부기여금 * 기본금리
특별중도해지 : 기본금리, 정부기여금 * 기본금리
일반중도해지 : 3년 이상 가입 후 해지 (이자소득세 비과세 혜택)
3년 미만 가입 후 해지 (이자소득세 과세)
가입심사절차 확인하기
청년도약계좌는 직접 은행에 방문할 필요 없이 본인이 사용하는 은행 어플을 통해 가입 신청을 하면 됩니다.
국민, 신한, 우리, 농협, 기업, 하나, 대구, 부산, 경남, 광주, 전북 등 총 11개 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어요.
1인당 1 계좌만 가입이 가능하며, 최대 2주간의 심사를 거쳐 승인이 완료되면 계좌를 만들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은?
청년희망적금 만기자의 연계가입 신청일은 1월 25일부터 2월 16일까지입니다. (연휴 및 주말 제외)
청년도약계좌 신규가입은 매달 가능하며,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일정이 공지됩니다.
약 2주간 심사가 진행된 후 적격자로 승인이 되면 3월 4일부터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
'생활정보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망리턴패키지 사업참여 확인서 발급방법 (국민취업지원제도 서류 보완) (0) | 2023.10.20 |
---|---|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방법 자세히 알아보기 (0) | 2023.10.14 |
폐업자 희망리턴패키지 신청방법 (전직장려수당 120만원 지급)~ (2) | 2023.09.14 |
소득세 환급금 조회방법, 지급시기 알아보기 (0) | 2023.08.26 |
국민 내일배움카드 국비지원 신청방법, 자격 조건 (0) | 2023.08.10 |
댓글